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경남외국어고등학교

검색열기

학교소식

상담실

메인페이지 학교소식상담실

상담실

게시 설정 기간
상담실 상세보기
자살·자해 청소년의 이해 - 경상남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고위기 청소년 집중심리클리닉(2024.제1회)
작성자 신외숙 등록일 2024.04.01

자살·자해 청소년의 이해 - 경상남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고위기 청소년 집중심리클리닉(2024.제1회)


1. 자살이란자살이란 ‘자신의 생명을 끊는 것을 의미하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자신의 신체에 대해서 치명적인 결과를 자행하는 자해행위‘라 정의를 내리고 있다. 자살의 방법으로는 추락, 목맴, 가스중독, 익사 등의 방법을 시도하며, 특히 청소년의 경우 다른 연령층과 달리 추락으로 인한 자살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보건복지부, 2023).이러한 자살은 2019년 기준 한국 청소년 10만 명당 9.9명의 사망원인으로 나타났고, 청소년의 사망 원인 1위를 9년 연속 차지하고 있어(통계청, 2019), 자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2. 청소년 자살의 특징청소년의 자살은 성인과는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다. § 청소년은 환경적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성인 자살시도의 경우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으로 시도하는 것과는 달리, 청소년은 갑작스러운 스트레스나 충동적인 욕구로 자살 시도를 할 수 있다(이문영. 2021). § 청소년 자살은 사소한 자극이나 갈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자살이라는 극단적이고 현실 도피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박경원. 2013) § 청소년의 자살 생각은 진심으로 죽고자 하는 것보다는 성인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겪게 되는 각종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즉, 청소년의 경우 이 당시의 스트레스를 잘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청소년 중 재시도한 비율은 10%에 불과하며, 나머지 90%는 재시도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1개월 정도 후 돌아오는 모습을 보인다(Hawton, 1986; 고혜선, 2016 재인용) 따라서 현재 청소년의 상황과 자살 증후를 확인하고 이를 조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3. 비자살적 자해란?비자살적 자해(Nonsuicidal Self-Injury: NSSI)는 ‘죽고자 하는 의도가 없이’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직접적이고 고의적인 자기 신체 상해 행위이다(APA, 2013). 자해의 방법으로는 손목과 팔 등의 피부 긋기, 문지르기, 긁기, 잘라내기, 부딪히기, 멍들게 하기, 스스로 때리기, 화상 입히기, 피 뽑기(사혈)등이 있다. 주로 면도칼, 커터칼 이외에도 펜 끝, 유리 조각 등 다양한 자해도구를 사용하여, 손목, 팔, 허벅지 등과 같은 다양한 부위에 상처를 입힌다(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2018).이러한 비자살적 자해는, 2015년 4,000건, 2016년 5,673건, 2017년 8,352건으로 점차적인 증가 추세를보이다가 2018년에는 2만8000건으로 2015년의 7배로 급증하였나(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이는 청소년의 자해 빈도가 늘어난 것으로 보기 보다는 숨어서 자해행동을 하던 학생들이 서서히 수면 위로 노출되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2018).4.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의 특징비자살적 자해는 청소년기 초중반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그 이유로는 다음 아래와 같다. § 청소년기 뇌 발달 과정으로 인한 충동성과 정서적 반응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Casey, Jones, & Hare, 2008). § 청소년은 성공과 진학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압박 등으로, 지나친 경쟁에 내몰려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 청소년은 인지능력이나 정서 역량이 미숙하여 정서적 불편감이나 불안을 적절하게 해소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서미, 정익중, 이태영, 김지혜와 윤민지, 2018). § 청소년기에 또래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것, 친구나 지인 또는 미디어나 인터넷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에 노출되는 것, 부모의 방임, 학대 또는 박탈과 같은 아동기의 불리한 사건 경험 등이 다양한 요인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Brown & Plener, 2017)즉, 이를 정리하면 청소년기는 정서조절 기술이 부족하고, 부정적 감정의 강도와 빈도가 높을 때 효과적인 대처전략을 찾지 못해 정서적 고통을 분산시키기는 방법으로 비자살적 자해를 활용하게 된다(Klonsky &Muehlenkamp, 2007).


첨부파일
게시글 삭제사유

게시 설정 기간 ~ 기간 지우기